브레인ON!

환자의 상태 구분 용어 알기

원무과대장 2024. 11. 14. 09:48
반응형

병원에서는 환자를 파악하고 구분할 때는 여러 기준과 용어를 사용 하게됩니다. 대표적으로는
고도, 중등도, 경도 등의 표현을통해 질병의 중등도를 나누는데요, 환자분들의 소견서나 진단서를 보고 구분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상담할때 또는 의료진과의 대화에서 기본적인 소통의 시작이 될 것입니다.
 

1. 중등도

  • 고도(Severe) : 환자의 생명에 즉각적으로 위협이 있을 정도로 증상이 매우 심각한 상태를 말합니다.고도의 환자는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며, 종종 중환자실(ICU)에 입원이 됩니다. 환자의 예를 들면, 급성 심근경색, 심한 호흡곤란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중등도(Moderate): 천식 발작, 통증이 심한 골절 등의 증상이 있는 상태이며, 환자의 상태가 안정적이지만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상태입니디. 응급 처치는 아니더라도 입원이 필요한 경우의 환자를 말합니다.
  • 경도(Mild) : 경미한 증상으로 생명에 큰 지장은 없지만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상태로 외래 진료나 처방약으로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쉽게 두통 경미한 타박상등이 해당됩니다.

 

2. 환자 응급도 분류체계

환자의 상태를 다섯가지 정도보 나누어 응급실에서 신속하게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체계로 많이들 들어보신 것을 한번 더 정리해보겠습니다.
 

  • 응급: 생명이 매우 위태로워 즉각적인 처치 및 치료가 필요함
  • 긴급: 상태 악화의 위험이 높아 빠른 치료가 필요함
  • 준응급: 심각한 상태는 아니지만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치료가 필요함
  • 비응급: 응급 상황은 아니며, 치료를 위해 대기 할 수 있음 
  • 일반진료: 응급 진료가 필요 없으며, 일반 외래 진료로 가능한 치료

 

3. 통증척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0에서 10까지 구분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활용하며,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0~ 3점 : 경도통증
  • 4~6점 : 중등도 통증
  • 7~10점: 고도 통증

이외에도 시각통증 척도, 얼굴표정 통증 척도, 통증 기술 방법, 행동관찰 척도 등 이처럼 다양한 통증 척도 중 환자의 나이, 인지상태, 상황등에 따라 적절한 척도를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자세한 통증척도의 방법은 다른 글을 통해 다뤄 보겠습니다.

반응형